2002년 FIFA 월드컵 A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FIFA 월드컵 A조는 세네갈, 덴마크, 우루과이, 프랑스가 속한 조로, 프랑스가 조별 리그에서 탈락하는 이변이 발생했다. 세네갈은 개막전에서 프랑스를 꺾고 조 2위로 16강에 진출했으며, 덴마크가 조 1위를 차지했다. 우루과이는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2002년 FIFA 월드컵 A조 |
---|
2. 경기 결과
A조는 시작부터 뜻밖의 결과들이 속출하였는데, 세네갈은 대회 개막전에서 프랑스를 1-0으로 꺾었다.[4] 프랑스는 이어지는 우루과이와의 경기에서 티에리 앙리의 퇴장으로 무득점 무승부를 기록했고, 덴마크와의 최종전에서 0-2로 패하며 탈락했다.[4] 전 대회 우승국 프랑스는 무득점으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하는 수모를 겪었다.[4] 세네갈은 남은 두 경기에서 덴마크, 우루과이와 비겼다.[4]
덴마크는 울산에서 열린 우루과이전에서 첫 승리를 거두었으나, 대구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세네갈과의 2차전에서 동점골을 허용하며 무승부를 기록했다.[4] 이후 덴마크는 프랑스와의 최종전에서 2-0으로 승리하고, 세네갈과 우루과이가 비기면서 조 1위를 차지했다.[4]
우루과이는 프랑스와 득점 없이 비겼으나,[4] 세네갈과의 경기에서는 3골을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1차전 덴마크전 패배로 인해 16강 진출이 좌절되었다.[4]
2. 1. 프랑스 vs 세네갈
2002년 5월 31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개막전에서 세네갈이 프랑스를 1-0으로 꺾는 이변을 일으켰다.[1]경기 정보 | |
---|---|
날짜 | 2002년 5월 31일 |
시간 | 20:30 (한국 표준시) |
경기장 | 서울월드컵경기장, 서울특별시 |
관중 | 62,561명 |
주심 | 알리 부지사임 (아랍에미리트) |
최우수 선수 | 엘 하지 디우프 (세네갈) |
결과 | 프랑스 0 : 1 세네갈 |
득점 | 부바 디오프 Papa Bouba Diop|파파 부바 디오프영어 (세네갈) (전반 30분) |
{| class="wikitable"
|+ 양팀 선수 명단
|-
! 프랑스 !! 세네갈
|-
|
포지션 | 번호 | 선수 | 비고 | ||
---|---|---|---|---|---|
GK | 16 | 파비앵 바르테즈 | |||
RB | 15 | 릴리앙 튀랑 | |||
CB | 18 | 프랑크 르뵈프 | |||
CB | 8 | 마르셀 드사이 (주장) | |||
LB | 3 | 빅상트 리자라쥐 | |||
CM | 4 | 파트리크 비에라 | |||
CM | 17 | 에마뉘엘 프티 | |||
RW | 11 | 실뱅 윌토르 | |||
AM | 6 | 유리 조르카에프 | |||
LW | 12 | 티에리 앙리 | |||
CF | 20 | 다비드 트레제게 | |||
교체 선수 | |||||
FW | 21 | 크리스토프 뒤가리 | |||
FW | 9 | 지브릴 시세 | |||
감독 | |||||
로제 르메르 |
|
포지션 | 번호 | 선수 | 비고 | ||
---|---|---|---|---|---|
GK | 1 | 토니 실바 | |||
RB | 17 | 페르디낭 콜리 | |||
CB | 13 | 라민 디아타 | |||
CB | 4 | 파프 말리크 디오프 | |||
LB | 2 | 오마르 다프 | |||
DM | 6 | 알리우 시세 (주장) | |||
RM | 14 | 모사 은디아유 | |||
CM | 19 | 파파 부바 디오프 | |||
CM | 15 | 살리프 디아오 | |||
LM | 10 | 칼릴루 파디가 | |||
CF | 11 | 엘 하지 디우프 | |||
감독 | |||||
Bruno Metsu|브뤼노 메추프랑스어 |
2. 2. 우루과이 vs 덴마크
2002년 6월 1일, 울산문수축구경기장에서 열린 우루과이와 덴마크의 경기에서 덴마크가 2-1로 승리하였다. 덴마크의 욘 달 토마손은 전반 45분과 후반 83분에 득점하였고, 우루과이의 로드리게스는 후반 47분에 득점하였다.width="15%" | | 우루과이 선수 | width="5%" | | width="15%" | | 덴마크 선수 | |
---|---|---|---|---|---|
GK | 1 | 파비안 카리니 | GK | 1 | 토마스 쇠렌센 |
RB | 2 | 구스타보 멘데스 | RB | 6 | 토마스 헬베그 |
CB | 14 | 곤살로 소론도 | CB | 4 | 마르틴 라우르센 |
CB | 4 | 파올로 몬테로 (주장) | CB | 3 | 레네 헨릭센 |
LB | 6 | 다리오 로드리게스 | LB | 5 | 얀 헤인체 (주장) |
RM | 8 | 구스타보 바렐라 | CM | 2 | 스티 퇴프팅 |
CM | 5 | 파블로 가르시아 | CM | 7 | 토마스 그라베센 |
LM | 7 | 히아니 히고우 | RW | 19 | 데니스 롬메달 |
AM | 20 | 알바로 레코바 | AM | 9 | 욘 달 토마손 |
CF | 9 | 다리오 실바 | LW | 8 | 예스페르 그룅키에르 |
CF | 13 | 세바스티안 아브레우 | CF | 11 | 에베 산 |
교체 선수 | colspan=3 | | ||||
FW | 17 | 마리오 레게이로 | DF | 12 | 니클라스 옌센 |
FW | 11 | 페데리코 마가야네스 | FW | 10 | 마르틴 예르겐센 |
FW | 18 | 리차르드 모랄레스 | MF | 17 | 크리스티안 포울센 |
감독 | colspan=3 | | ||||
빅토르 푸아 | 모르텐 올센 | ||||
최우수 선수 | colspan="3" | | ||||
욘 달 토마손 (덴마크) | colspan="3" | | ||||
부심 | colspan="3" | | ||||
요르단 아우니 하사우네 | colspan="3" | | ||||
말리 드라만 단테 | colspan="3" | | ||||
대기심 | colspan="3" | | ||||
에콰도르 비론 모레노 |
2. 3. 덴마크 vs 세네갈
2002년 6월 6일 대구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덴마크와 세네갈의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1] 덴마크는 전반 16분 욘 달 토마손의 페널티골로 앞서갔으나, 후반 52분 세네갈의 살리프 디아오가 동점골을 넣었다.[1]경기 최우수 선수로는 세네갈의 칼릴루 파디가가 선정되었다.[1]
덴마크 | 포지션 | 골 | 경고 | 퇴장 | 교체 | 세네갈 | 포지션 | 골 | 경고 | 퇴장 | 교체 |
---|---|---|---|---|---|---|---|---|---|---|---|
토마스 쇠렌센 | GK | 토니 실바 | GK | ||||||||
토마스 헬베그 | RB | 페르디낭 콜리 | RB | ||||||||
마르틴 라우르센 | CB | 라민 디아타 | CB | ||||||||
레네 헨릭센 | CB | 파프 말리크 디오프 | CB | ||||||||
얀 헤인체 | LB | 오마르 다프 | LB | ||||||||
스티 퇴프팅 | CM | 무사 은디아유 | RM | ||||||||
토마스 그라베센 | CM | 파프 사르 | CM | ||||||||
데니스 롬메달 | RW | 살리프 디아오 | CM | ||||||||
욘 달 토마손 | AM | 파파 부바 디오프 | CM | ||||||||
예스페르 그룅키에르 | LW | 칼릴루 파디가 | LM | ||||||||
에베 산 | CF | 엘 하지 디우프 | CF | ||||||||
교체 선수 | 교체 선수 | ||||||||||
마르틴 예르겐센 | FW | 앙리 카마라 | FW | ||||||||
크리스티안 포울센 | MF | 술레이만 카마라 | FW | ||||||||
페테르 뢰벵크란츠 | FW | 아비브 브유 | DF | ||||||||
감독 | 감독 | ||||||||||
모르텐 올센 | 브뤼노 메추 |
2. 4. 프랑스 vs 우루과이
2002년 6월 6일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열린 프랑스와 우루과이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프랑스 | width="10%" | | 우루과이 |
---|---|---|
파비앵 바르테즈 | GK | 파비안 카리니 |
릴리앙 튀랑 | RB | 알레한드로 렘보 |
프랑크 르뵈프 (16분 교체) | CB | 파올로 몬테로 (주장) |
마르셀 드사이 (주장) | CB | 곤살로 소론도 |
빅상트 리자라쥐 | LB | 다리오 로드리게스 (73분 교체) |
파트리크 비에라 | CM | 구스타보 바렐라 |
에마뉘엘 프티 (경고) | CM | 파블로 가르시아 (경고) |
실뱅 윌토르 (90+3분 교체) | RW | 마르셀로 로메로 (경고, 71분 교체) |
조앙 미쿠 | AM | 알바로 레코바 |
티에리 앙리 (퇴장) | LW | 다리오 실바 (경고, 60분 교체) |
다비드 트레제게 (81분 교체) | CF | 세바스티안 아브레우 (경고) |
교체 선수 | ||
뱅상 캉델라 (16분 교체 투입) | DF | 페데리코 마가야네스 (60분 교체 투입) |
지브릴 시세 (81분 교체 투입) | FW | 곤살로 데 로스 산토스 (71분 교체 투입) |
크리스토프 뒤가리 (90+3분 교체 투입) | FW | 히아니 히고우 (73분 교체 투입) |
감독 | ||
로제 르메르 | 빅토르 푸아 |
이 경기에서 프랑스의 파비앵 바르테즈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부심은 엘살바도르의 블라디미르 페르난데스와 앤티가 바부다의 커티스 찰스, 대기심은 스위스의 우르스 마이어가 맡았다.
2. 5. 덴마크 vs 프랑스
2002년 6월 11일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덴마크와 프랑스의 경기에서 덴마크가 2-0으로 승리하며 조 1위를 확정지었다.[1] 덴마크는 전반 22분 데니스 롬메달의 선제골과 후반 22분 욘 달 토마손의 추가골로 승리했다.[1]선수 | 포지션 | 등번호 | 비고 |
---|---|---|---|
토마스 쇠렌센 | 골키퍼 | 1 | |
토마스 헬베그 | 라이트 백 | 6 | |
마르틴 라우르센 | 센터 백 | 4 | |
레네 헨릭센 | 센터 백 | 3 | 주장 |
니클라스 옌센 | 레프트 백 | 12 | |
스티 퇴프팅 | 중앙 미드필더 | 2 | 79분 교체 |
크리스티안 포울센 | 중앙 미드필더 | 17 | 76분 교체 |
토마스 그라베센 | 중앙 미드필더 | 7 | |
데니스 롬메달 | 라이트 윙 | 19 | |
마르틴 예르겐센 | 레프트 윙 | 10 | 46분 교체 |
욘 달 토마손 | 스트라이커 | 9 | |
교체 선수 | |||
예스페르 그룅키에르 | 공격수 | 8 | 46분 교체 |
카스페르 뵈겔룬 | 수비수 | 20 | 76분 교체 |
브리안 스텐 닐센 | 미드필더 | 23 | 79분 교체 |
감독 | |||
모르텐 올센 |
선수 | 포지션 | 등번호 | 비고 |
---|---|---|---|
파비앵 바르테즈 | 골키퍼 | 16 | |
뱅상 캉델라 | 라이트 백 | 2 | |
릴리앙 튀랑 | 센터 백 | 15 | |
마르셀 드사이 | 센터 백 | 8 | 주장 |
빅상트 리자라쥐 | 레프트 백 | 3 | |
파트리크 비에라 | 중앙 미드필더 | 4 | 71분 교체 |
클로드 마켈렐레 | 중앙 미드필더 | 7 | |
실뱅 윌토르 | 라이트 윙 | 11 | 83분 교체 |
지네딘 지단 | 공격형 미드필더 | 10 | |
크리스토프 뒤가리 | 레프트 윙 | 21 | 54분 교체 |
다비드 트레제게 | 스트라이커 | 20 | |
교체 선수 | |||
지브릴 시세 | 공격수 | 9 | 54분 교체 |
조앙 미쿠 | 미드필더 | 22 | 71분 교체 |
유리 조르카에프 | 미드필더 | 6 | 83분 교체 |
감독 | |||
로제 르메르 |
이 경기의 최우수 선수는 지네딘 지단 (프랑스)이었다.[1]
2. 6. 세네갈 vs 우루과이
2002년 6월 11일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세네갈과 우루과이의 경기는 난타전 끝에 3-3 무승부를 기록했다. 세네갈은 칼릴루 파디가의 페널티킥 선제골과 파파 부바 디오프의 두 골로 전반전에 3-0으로 앞서나갔다. 그러나 우루과이는 후반전에 리차르드 모랄레스, 디에고 포를란, 알바로 레코바의 연속골로 동점을 만들었다. 특히 레코바는 후반 43분에 페널티킥으로 극적인 동점골을 기록했다.[1]이 경기에서 세네갈의 파파 부바 디오프가 최우수 선수(Man of the Match)로 선정되었다.[1]
항목 | 내용 |
---|---|
날짜 | 2002년 6월 11일 |
시간 | 15:30 (한국 표준시) |
장소 | 수원월드컵경기장, 수원 |
관중 | 33,681명 |
주심 | 얀 페허레이프 (네덜란드) |
최우수 선수 | 파파 부바 디오프 (세네갈) |
결과 | 세네갈 3 - 3 우루과이 |
득점 (세네갈) | 칼릴루 파디가 (20분, 페널티킥), 파파 부바 디오프 (26분, 38분)[1] |
득점 (우루과이) | 리차르드 모랄레스 (46분), 디에고 포를란 (69분), 알바로 레코바 (88분, 페널티킥)[1] |
2002년 FIFA 월드컵 A조는 시작부터 뜻밖의 결과가 나타났다. 세네갈은 대회 개막전에서 프랑스를 1-0으로 꺾었다. 프랑스는 이어지는 우루과이와의 경기에서 주축 스트라이커 티에리 앙리가 퇴장당한 후 무득점으로 비겼고, 덴마크와의 최종전에서 0-2로 져서 탈락하였다. 전 대회 우승국인 프랑스가 무득점으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한 것은 충격적인 사건이었으며, 2020년까지도 전 대회 우승국의 유일한 1라운드 무득점 탈락 사례로 남아있다.[4]
3. 순위
덴마크는 울산에서 열린 우루과이전에서 첫 승리를 거두며 안정적으로 시작하였으나, 대구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세네갈과의 2차전에서 동점골을 허용해 16강 진출을 확정짓지 못하였다. 덴마크는 프랑스와의 최종전에서 비기기만 해도 다음 라운드 진출이 가능했으며, 이 경기에서 2-0 완승을 거두었다. 세네갈과 우루과이가 비기면서 덴마크는 조 1위를 차지했다.
A조의 다크호스 우루과이는 프랑스를 상대로 득점 없이 비겼으나, 세네갈과의 경기에서 3골을 기록했다. 하지만 1차전에서 덴마크에 패한 것이 발목을 잡아 16강 진출에 실패하였다.
3. 1. 상세 순위표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3 | 2 | 1 | 0 | 5 | 2 | +3 | 7 | |
3 | 1 | 2 | 0 | 5 | 4 | +1 | 5 | |
3 | 0 | 2 | 1 | 4 | 5 | -1 | 2 | |
3 | 0 | 1 | 2 | 0 | 3 | -3 | 1 |
4. 선수 명단
팀 | 포지션 | 선수 | 감독 |
---|---|---|---|
rowspan="16" | | GK | 파비앵 바르테즈 | 로제 르메르 |
RB | 릴리앙 튀랑 | ||
CB | 프랑크 르뵈프 | ||
CB | 마르셀 드사이 (주장) | ||
LB | 빅상트 리자라쥐 | ||
CM | 파트리크 비에라 | ||
CM | 에마뉘엘 프티 | ||
RW | 실뱅 윌토르 | ||
AM | 유리 조르카에프 | ||
LW | 티에리 앙리 | ||
CF | 다비드 트레제게 | ||
FW | 크리스토프 뒤가리 | ||
FW | 지브릴 시세 | ||
DF | 뱅상 캉델라 | ||
AM | 조앙 미쿠 | ||
MF | 클로드 마켈렐레 | ||
rowspan="14" | | GK | 토니 실바 | 브뤼노 메추 |
RB | 페르디낭 콜리 | ||
CB | 라민 디아타 | ||
CB | 파프 말리크 디오프 | ||
LB | 오마르 다프 | ||
DM | 알리우 시세 (주장) | ||
RM | 모사 은디아유 | ||
CM | 파파 부바 디오프 | ||
CM | 살리프 디아오 | ||
LM | 칼릴루 파디가 | ||
CF | 엘 하지 디우프 | ||
FW | 앙리 카마라 | ||
FW | 술레이만 카마라 | ||
DF | 아비브 브유 | ||
rowspan="16" | | GK | 파비안 카리니 | 빅토르 푸아 |
RB | 구스타보 멘데스 | ||
CB | 곤살로 소론도 | ||
CB | 파올로 몬테로 (주장) | ||
LB | 다리오 로드리게스 | ||
RM | 구스타보 바렐라 | ||
CM | 파블로 가르시아 | ||
LM | 히아니 히고우 | ||
AM | 알바로 레코바 | ||
CF | 다리오 실바 | ||
CF | 세바스티안 아브레우 | ||
FW | 마리오 레게이로 | ||
FW | 페데리코 마가야네스 | ||
FW | 리차르드 모랄레스 | ||
DF | 알레한드로 렘보 | ||
MF | 마르셀로 로메로 | ||
rowspan="14" | | GK | 토마스 쇠렌센 | 모르텐 올센 |
RB | 토마스 헬베그 | ||
CB | 마르틴 라우르센 | ||
CB | 레네 헨릭센 | ||
LB | 얀 헤인체 (주장) | ||
CM | 스티 퇴프팅 | ||
CM | 토마스 그라베센 | ||
RW | 데니스 롬메달 | ||
AM | 욘 달 토마손 | ||
LW | 예스페르 그룅키에르 | ||
CF | 에베 산 | ||
DF | 니클라스 옌센 | ||
FW | 마르틴 예르겐센 | ||
MF | 크리스티안 포울센 |
5. 특이 사항
A조는 시작부터 예상 밖의 결과들이 속출했다. 세네갈은 대회 개막전에서 프랑스를 1-0으로 꺾었다. 세네갈은 남은 두 번의 조별 리그 경기에서 덴마크, 우루과이와 비기며 1승 2무의 성적으로 16강에 진출했다.
덴마크는 울산에서 열린 우루과이전에서 첫 승리를 거두었으나, 대구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세네갈과의 2차전에서 동점골을 허용해 16강 진출을 확정짓지 못했다. 덴마크는 프랑스와의 최종전에서 2-0 완승을 거두고, 세네갈과 우루과이가 비기면서 조 1위를 차지했다.
우루과이는 프랑스를 상대로 득점 없이 비기는 등 기대 이하의 성적을 거두었다. 세네갈과의 경기에서 3골을 넣었으나, 1차전에서 덴마크에 패한 것이 발목을 잡아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2002년 5월 15일 기준 FIFA 랭킹은 다음과 같다.
팀 | 연맹 | FIFA 랭킹 | |
---|---|---|---|
A1 | UEFA | 1 | |
A2 | CAF | 42 | |
A3 | CONMEBOL | 24 | |
A4 | UEFA | 20 |
5. 1. 프랑스의 부진
A조는 시작부터 예상 밖의 결과가 나왔는데, 세네갈은 대회 개막전에서 프랑스를 1-0으로 이겼다. 프랑스는 이어지는 우루과이와의 경기에서 주축 스트라이커 티에리 앙리가 퇴장당한 후 득점 없이 비겼고, 덴마크와의 최종전에서 0-2로 져서 탈락했다.[4] 전 대회 우승국인 프랑스가 무득점으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한 것은 2020년까지도 전 대회 우승국의 유일한 1라운드 무득점 탈락 사례로 남아있다.[4]2002년 6월 6일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열린 프랑스와 우루과이의 경기는 0-0 무승부로 끝났다. 이 경기에서 프랑스의 티에리 앙리가 전반 25분에 퇴장당했다.[4] 경기의 최우수 선수(Man of the Match)는 프랑스의 파비앵 바르테즈였다.
프랑스 vs 우루과이 경기 정보 |
---|
6월 11일 인천문학경기장에서 열린 덴마크와 프랑스의 경기에서는 덴마크가 2-0으로 승리했다. 덴마크는 전반 22분 데니 로메달의 선제골과 후반 22분 욘 달 토마손의 추가골로 프랑스를 꺾었다.
덴마크 vs 프랑스 경기 정보 |
---|
5. 2. 세네갈의 돌풍
세네갈은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돌풍을 일으키며 세계 축구계를 놀라게 했다. 조별 리그 첫 경기에서 강력한 우승 후보이자 전 대회 우승팀인 프랑스를 1-0으로 꺾는 이변을 연출했다.[4] 이 경기에서 파파 부바 디오프는 결승골을 기록하며 세네갈 승리의 주역이 되었다.세네갈은 이어진 덴마크와의 경기에서 1-1 무승부를 기록했고, 우루과이와의 경기에서는 난타전 끝에 3-3 무승부를 거두었다. 특히 우루과이전에서는 칼릴루 파디가의 페널티킥 득점과 파파 부바 디오프의 멀티골에 힘입어 3-0으로 앞서나가기도 했다. 그러나 후반전에 리차드 모랄레스, 디에고 포를란, 알바로 레코바에게 연속골을 허용하며 아쉽게 비기고 말았다.[4]
세네갈과 우루과이의 경기는 양 팀 도합 12장의 경고 카드가 나올 정도로 매우 격렬했다. 다음은 이 경기에서 세네갈 선수들이 받은 경고 목록이다.
이러한 활약에 힘입어 세네갈은 1승 2무, 조 2위의 성적으로 16강에 진출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이는 월드컵 처녀 출전국이 이뤄낸 놀라운 성과였다. 엘 하지 디우프, 파파 부바 디오프 등 스타 선수들의 활약은 세네갈 돌풍의 원동력이 되었다.
5. 3. 기타
2002년 FIFA 월드컵 A조 경기는 대한민국과 일본에서 공동 개최되었으며, 경기가 열린 경기장은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フランス】2002年W杯、フランスがグループリーグで敗退した理由
https://sportiva.shu[...]
2013-01-07
[2]
웹사이트
W杯史上最も衝撃的なグループステージ敗退チーム…2018年のドイツ、2002年のフランスなど
https://www.goal.com[...]
2022-10-19
[3]
웹사이트
FIFA/Coca Cola World Ranking (15 May 2002)
https://www.fifa.com[...]
FIFA
2002-05-15
[4]
문서
조별리그 탈락 국가 대표팀 목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